[스크랩] 재혼팔자(再婚八字)
재혼팔자(再婚八字)
남자는 편재/정재의 기운을 살피고 여자는 편관/정관의 기운이 혼잡하고 있는지를 살피는데 남녀 모두 일지는 자신이며 배우자궁을 나타내므로 일지의 동태와 십이운성의 강약 및 각종 살성을 대입한 뒤 복수적으로 판단한다.
이밖에도 일주를 중심으로 한 간합/지합이 많고 일간을 주동하여 지장간에 암장된 기운과 암합하는 경우 재혼팔자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일주가 십이운성 목욕지에 앉아있고 타주에 거듭 목욕을 보거나 역마살에 해당하면 간부 따라 천리를 도주한다.
● 남자의 재혼팔자(再婚八字)
1.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사주 내 정재/편재가 많아 혼잡하면 재혼팔자다.
2.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일지를 삼형/상충으로 중첩하면 재혼팔자다.
3.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일지 4흉성(겁재-상관-편관-편인)을 형/충/파/해로 파극하면 재혼팔자다.
4.일간이 신왕하여 일주가 양인에 해당하거나 일주 백호/괴강을 형/충하면 재혼팔자다.
5.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사주원국이 양팔통(陽八通)이나 음팔통(陰八通)이면 호색다음(好色多淫)하여 재혼팔자로 둔갑한다.
6.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천간합(天干合)과 지지합(地支合)이 많으면 재혼팔자다.
7.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일지 도화살이 있고 타주에 도화살이 중첩하면 재혼팔자다.
8.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일지 도화살이 있고 타주에 역마살이 있으면 남/녀를 불문하고 간부나 남의 여자와 간통하여 천리를 도주한다.
9.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사주 내 식신/상관이 많으면 재혼팔자다.
10.일간의 신강/신약을 불문하고 일간을 주동하여 지장간에 암장된 기운과 암합하거나 일주가 십이운성 목욕지에 앉아 있고 타주에 역마살이 있으면 재혼팔자다.
예제/1950년 1월 28일 신시 (남자/음력)
▶ 대운천간 癸水는 일간에 대한 상관이며 길신이라고 하나 사주원국의 월상 인수/己土를 己-癸상충으로 가격하니 재물/문서상 타격을 예시하고 있다.
▶ 한편으로 볼 때 대운지지 未土는 일간에 대한 인수며 기신으로 사주원국의 일지 편인/戌土를 戌-未상충으로 파극하는 것은 자신이며 배우자궁이 흔들리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부부이별/관재구설/질병/소송의 위험성을 노출하고 말았다.
▶ 상황이 이럴 진데 세운천간 戊土가 일간에 대한 편인이며 기신으로 시상 편재/甲木을 甲-戊상충으로 가격하고 세운지지 辰土가 합세하여 일지 편인/戌土를 辰-戌상충으로 대접하는 처사는 편재/甲木과 부부궁/일지를 파극하는 것이라 1988년 3월 법정이혼에 이른다.
▶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부분이 발견되고 있는데 그것은 월운이 진월이라 세운과 일치하여 辰-戌상충을 중첩하고 있다는 것이며 문제는 월지 정재/卯木과 대운지지 未土 간 卯-未合木하여 재성/木氣를 만들어 내고 다시 세운지지 辰土가 합세하여 사주원국을 申-辰合水하여 식상/水氣를 더하는 것은 여자/합방을 나타내는 것이라 어떠한 이유가 있을 수 없다.
사주해설
庚일간 卯월에 태어나 실령하였으나 일지 편인/戌土에 득지하고 시지 비견/庚金에 득세하였으며 그 속에 뿌리를 둔 년간 비견/庚金과 월상 인수/己土가 투출하여 일간을 생조하니 신왕으로 귀착한다.
이렇게 일간이 신왕하면 종격/가종격으로 돌아가지 않는 한 이를 적절히 억제하는 기운이 필요한데 마침 월지 정재/卯木과 년지 편재/寅木이 자리 잡고 그 속에 뿌리를 둔 시상 편재/甲木이 투출하여 일간을 견제하니 종하지 않으며 내격 준한 용신을 설정함을 알 수 있다.
고로 신왕월지정재격(身旺月支正財格)을 성격하며 용신은 인중용재격(印重用財格)으로 신왕한 일간을 바로 억제하는 재성/木氣를 용신하고 식상/水氣를 희신하는 식상생재격(食傷生財格)을 함께 성격한다.
이렇게 사주격국과 용신을 설정하고 사주원국을 자세히 살펴보니 재성/木氣가 강령하여 길신의 임무를 다하고 있으나 한곳에 모이지 않아 재복이 줄어들고 있으며 더하면 신왕한 일간을 자연스럽게 누출하는 식상/水氣의 정오행이 보이지 않는 것은 비겁/金氣와 재성/木氣 간 金剋木으로 상극하여 전극이 발생하는 것이라 좋지 않게 되었다.
상황이 이럴 진데 관성/木氣마저 보이지 않고 천간의 甲-庚상충을 중첩하는 것은 오행의 유통됨에 막힘을 더하는 것이라 그만 사주 내 탁기를 이루고 말았다.
그렇다면 운로에서라도 필히 식상/水氣를 만나야하는 절실함을 요구하고 있음인데 대운의 흐름이 유년 庚辰대운을 거쳐 남방-서방으로 치달리는 처사는 일간 군주를 비켜가는 역방이라 유년시절의 기복과 변동성이 많음을 예시하고 있으며 실제로 1958년/戊戌년 부친이 지병인 간암으로 별세하고 사주주인공 또한 잔병치레로 고생이 많았으니 급기야 1961년/辛丑년 교통사고를 당하는 불운까지 겪었음을 회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위 사주를 풀어가는 해법은 비겁/金氣와 인성/土氣 및 재성/木氣로 편중된 오행으로 사주 내 막힘이 크다는 것이며 식상/水氣와 관성/火氣의 정오행이 보이지 않는 것은 재성/木氣를 중심으로 한 비겁/金氣와 인성/土氣 간 서로 대립되어 마치 전쟁터를 방불케 하고도 남음이 있는 것이라 숙명적인 운로의 불길함을 무언중에 암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