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수 와 후천수
자연수(自然數), 선천수(先天數) 그리고 후천수(後天數)에 대하여
자연수(自然數)는 1, 2, 3, . . 등과 같이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필요성에 의해 발생하였고 일상사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으며 가장 먼저 등장한 숫자이기도 하다. 근래에는 “0”도 자연수의 최소 숫자로 보며 이러한 자연수를 개념을 달리하여 음양학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 명리학에서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자연수를 10천간과 12지지에 배속하면 천간(天干)은 甲목 - 1, 乙목 - 2, 丙화 - 3, 丁화 - 4, 戊토 - 5, 己토 - 6, 庚금 - 7, 辛금 - 8, 壬수 - 9, 그리고 癸수 - 10이 되며 지지 (地支)는 子수 - 1, 丑토 - 2, 寅목 - 3, 卯목 - 4, 辰토 - 5, 巳화 - 6, 午화 - 7, 未토 - 8, 申금 - 9, 酉금 - 10, 戌토 - 11, 그리고 亥수 - 12가 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숫자가 자연수라면 선천수(先天數)는 음양학이 중심이 되어 사용되게 되며 또한 다음에 나올 후천수는 선천수 다음에 만들어진 숫자가 된다. 甲목은 10천간(天干)의 우두머리이고 子수도 12지지(地支)의 우두머리이므로 甲子에서 일양(一陽)이 시생(始生)하고 양의 숫자 중에 가장 큰 숫자는 9가 된다.
천간은 甲목에서 시작하고 지지는 子수에서 시작하는데 甲子부터 세어가면 壬申까지가 9가 되는 것이니 이 선천수의 원리는 일양 (一陽)이 시생 (始生)하여 노성(老成)하는 과정을 관찰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9라는 수는 1, 3, 5, 7, 9 의 양수의 만수(滿數)가 되어 노양(老陽)이라고 하며 甲목이 己토를 합해 오고 子수가 午화를 충하여와 “甲己子午”는 한 집단을 이룬다.
이러한 선천수를 분석하면 甲己子午 9, 乙庚丑未 8, 丙辛寅申 7, 丁壬卯酉 6, 戊癸辰戌 5, 巳亥 4가 되고 이는 육임(六壬)이나, 부적 등에 사용하고 음양을 다루다 보니 귀신을 물리치는 숫자가 되며 또한 육효(六爻)의 대가들이 많이 활용한다.
후천수(後天數)는 음양오행학인 명리학에서 많이 사용하며 오행이 만들어 지면서 생긴 숫자이니 이는 오행의 발생 순서를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사주 명리학은 음양오행학(陰陽五行學)이고 여기에서 반드시 후천수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용신을 중요하게 사용하여 숫자를 택할 경우에 후천수를 활용하니 즉, 용신이 木기와 火기라면 3 과 8 그리고 2 와 7을 조합해서 활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천수를 요약하면
木기 : 甲목, 寅목 3, 乙목, 卯목 8
火기 : 丙화, 午화 7, 丁화, 巳화 2
土기 : 辰토, 戌토 5, 己토, 丑토, 未토 10
金기 : 申금 9 辛금, 酉금 4
水기 : 子수 1 癸수, 亥수 6 으로 분류되고
후천수(後天數)의 활용도는 사주학에서 용신이나 기신 등의 숫자를 조합하여 활용하니 예를 들면 金기가 기신인 명(命)이 만약 49번지나 49호에 산다면 분명 폐(肺)나 대장(大腸)에 암 등의 중병으로 고생을 하거나 사망하게 될 것이다. 또한 기문둔갑(奇門遁甲)에서는 궁에서 발생하는 합, 원진, 형, 충 등을 모두 후천수로 분석하며 통변에 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