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6회(육친)
이번 회에서는 육친(六親)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5. 육친(六親, 六神, 十神)
四柱를 구성하고 있는 8개의 글자에서 일간(日干) 즉, 나를 기준으로 나머지 일곱 글자와의 生 또는 剋의
관계를 살펴야 합니다.
일간(日干)인 나를 生하는 것과 내가 生하는 관계, 나를 剋하는 것과 내가 剋하는 관계, 그리고 나와 生하
거나 剋하지 않는 관계 등을 살펴서 각각에 고유한 이름을 붙이게 되는데 과거에는 陰陽을 구분하지 않
았기 때문에 여섯 관계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六神이라고 합니다. 六神은 印星, 官星, 財星, 食神,
傷官, 比劫을 말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음양의 관계를 고려하여 정(正)과 편(偏)을 나누어 10가지의 용어
가 된 것이 十神입니다. 그러니까 六親이란 이런 六神의 관계에 의하여 구별되는 家族間의 관계를 의미
하는 것 이랍니다.
그럼 이제 六神 즉 十神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1) 비겁(比劫)
나 즉 日干과 五行이 같은 것을 말합니다. 比劫은 또 陰陽에 따라 비견(比肩)과 겁재(劫財)로 나뉘어
집니다.
① 비견(比肩) ; 日干과 五行 및 陰陽이 모두 같은 것
② 겁재(겁재) ; 日干과 五行이 같고 陰陽은 다른 것
2) 식상(食傷)
日干이 生하여 주는 것으로 食神과 傷官으로 나뉘어 집니다.
① 식신(食神) ; 日干이 生하여 주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같은 것
② 상관(傷官) ; 日干이 生하여 주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다른 것
3) 재성(財星)
日干이 剋하는 五行으로 편재(偏財)와 정재(正財)로 나뉘어 집니다.
①편재(偏財) ; 日干이 剋하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같은 것
②정재(正財) ; 日干이 剋하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다른 것
4) 관성(官星)
日干을 剋하는 五行으로 편관(偏官)과 정관(正官)으로 나뉘어 집니다.
①편관(偏官) ; 日干을 剋하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같은 것
②정관(正官) ; 日干을 剋하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다른 것
5) 인성(印星)
日干을 生하여 주는 五行으로 편인(偏印)과 정인(正印)으로 나뉘어 집니다.
①편인(偏印) ; 日干을 生하여 주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같은 것
②정인(正印) ; 日干을 生하여 주는 五行으로 日干과 陰陽이 다른 것
아시겠습니까? 어렵다구요. 그래도 이 열개는 앞으로 사주를 볼 때 항상 쓰이는 것이니까 외워두셔야 합
니다. 하긴 한참 지나면 우리가 구구단을 외우는 것처럼 그냥 막 나오지만요. 처음엔 외우셔야 하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어떨까요.
우선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은 내가 가지고 있는 돈 입니다. 돈은 財니까 즉 내가 剋 할 수 있는 것은 財입니다.
나를 못살게 구는 것은 관청이구요. 즉 나를 剋하는 것은 官이랍니다.
나를 태어날 수 있게 해 주는 것은 어머니입니다. 어머니는 인자하시잖아요. 즉 나를 生해주는 것은 印
이지요.
나는 가족을 위하여 먹을 거리를 장만해 주어야 하죠. 그러니까 내가 生해주는 것이 食입니다.
내 친구 중에는 비겁한 친구도 있나요? 즉 나와 같은 것은 比劫이랍니다.
조금 이해가 되시나 모르겠습니다. 여기다가 이렇게 또 생각해 보았습니다.
陽과 陽, 陰과 陰만 있는 것은 자기들 끼리만 편을 먹고 있으니까 偏자가 붙습니다. 또 陽과 陰, 陰과 陽으
로 되어있는 것은 陰陽이 섞여있으니까 즉 남자와 여자가 같이 있으니까 정답겠죠. 그래서 正자가
붙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생각해 보겠습니다.
日干이 甲木일 때 戌土가 있다면 木은 土를 剋하니까 戌土는 財가 됩니다. 그런데 日干도 陽이고 戌土도
陽이니까 같은 陽끼리가 되죠. 그럼 편을 먹은 것이지요. 그러니까 甲木에게 戌土는 偏財가 되는 것입
니다. 그렇다면 日干이 甲木일 때 丑土는 역시 財인데 甲木은 陽이고 丑土는 陰이니까 이 경우에는 陽과
陰이 같이 있는 것이죠. 그럼 정답게 지내겠죠. 그럼 甲木에게 丑土는 正財가 되는 것이겠군요.
만약 日干이 丁火인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丁火에 대하여 癸水는 火를 剋하니까 일단 官이 되겠습
니다. 그런데 丁火와 壬水는 모두 陰이므로 편을 짜서 모여있군요. 그러니까 癸水는 丁火에 대하여
偏官이 되겠습니다. 日干 丁火에 대하여 壬水는 官인데 陰과 陽이 섞여있으니까 丁火에 대한 壬水는
正官이 되는 것이랍니다. 日干이 戊土일때 巳火는 戊土를 生해주니까 印이구요 모두 陽이니까 偏印이
되는 것은 이제 아시겠지요. 戊土에 대하여 午火는 正印이 되는 것이랍니다.
財와 官, 印은 모두 이와 같은데 食傷과 比劫은 다르답니다. 食傷의 경우 같은 편이 있는 것이 먹기 편하
죠. 그래서 陽과 陽, 陰과 陰의 관계일 때 食神이라고 하고, 陰과 陽이 섞인 경우를 傷官이라고 한답니다.
比劫도 陽과 陽, 陰과 陰 즉 남자는 남자 여자는 여자와 같이 있으면 어깨를 나란히 하고 걷는다고 比肩이
라 하고 남자와 여자가 만나면 아무래도 돈이 들게 마련이니까 劫財라고 한답니다.
6) 六神의 生剋 관계
이제부터는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 만 아시면 되는게 아니구요. 육신의 관계도 잘 익혀
두셔야 합니다.
우선 木을 나(日干)라고 생각하고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木에 대하여 木은 比劫, 火는 食傷, 土는 財, 金은 官, 水는 印이므로 위에 써놓은 五行간 生의 관계를
생각하면, 比劫은 食傷을 生합니다. 食傷은 財를 生하지요. 財는 官을 生합니다. 官은 印을 生하고 印은
比劫을 生합니다.
剋의 관계도 같이 생각하면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金剋木이므로
比劫은 財를 剋하구요 財는 印을 剋합니다. 印은 食傷을 剋하고 食傷은 官을 剋하며 官은 比劫을 剋합니
다. 쉽지요? 아니 어렵다구요? 연습을 많이 하시면 곧 익숙해 진답니다.
정리하면
生의 관계는 比生食, 食生財, 財生官, 官生印, 印生比
剋의 관계는 比剋財, 財剋印, 印剋食, 食剋官, 官剋比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7. 六親관계
이제 인간 사회의 가족 관계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나를 낳아주신 분이 어머니입니다. 따라서 나의 어머니는 印인데 나와는 성별이 다르지 않습니까 그래서
正印입니다. 내 妻는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옛 사람의 생각입니다. 그래서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財가 내 妻인데 역시 나와는 성별이 다르니까 正財가 되는 것입니다.(요즈음 세상에서는 처를
마음대로 했다가는 큰 일이 납니다. 조심하세요) 내 어머니인 正印을 剋하는 것은 財 인데 역시 성별 관계
를 고려하면 偏財가 되는 것입니다. 내 妻의 어머니는 正財의 正印이니까 즉 장모님은 食神이 되겠구요.
食神을 극하는 正印은 장인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장인을 偏印으로, 장모를 傷官으로 쓴답
니다. 자녀는 妻의 食傷이 되는 것이랍니다. 남자에게 자녀는 아들이 偏官, 딸이 正官이랍니다.
이렇게 따지면 되는 데요
표로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할아버지(偏印) — 할머니(傷官)
|
아버지(偏財) — 어머니(正印) 장인(偏印) — 장모(傷官)
| |
나(남자의 경우) — 처(正財)
|
아들(偏官) 딸(正官)
여자의 경우는 한 번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六神, 十神, 六親에 대하여 잘 아시겠죠.
다음 시간에는 天干과 地支의 五行에 대한 配像을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