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사주와 심리

[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14회 (명리학 용어)

그대 사랑 2018. 4. 12. 17:55

지금까지 배운 것을 중심으로 명리학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기회가 되면 조금 더 많은 자료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알아두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간지(干支)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합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간(干)은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의 十干을 말하구요

지(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의 十二支를 말합니다.


간충(干沖) 

天干끼리 沖하는 것을 말합니다.

甲과 庚, 乙과 辛, 丙과 壬, 丁과 癸가 서로 沖함을 말하는 것입니다.


간합(干合) 

天干끼리 合하는 것을 말합니다.

甲과 己, 乙과 庚, 丙과 辛, 丁과 壬, 戊와 癸가 서로 合을 합니다.


건록(建祿) 

建祿은 日干이 比肩月에 태어났을 때를 말합니다. 建祿, 專祿, 歸祿, 歲祿과 구분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甲木이 寅月에 태어났을 때 寅을 建祿이라고 합니다.

     ○     甲     ○     ○

     寅     寅     寅     寅

    歸祿   專祿   建祿   歲祿


건명, 곤명(乾命, 坤命)

男女 구분법으로 男子는 하늘이라 하여 하늘을 뜻하는 乾이라 하고

女子는 땅이라 하여 땅을 뜻하는 坤이라 합니다.


격국(格局) 

格이란 天干을 뜻하고 局이란 地支를 뜻하는데, 四柱의 종류는 모두 518,400가지나 됩니다. 이 많은 四柱들을 분석하는데 유사한 성향의 八字들을 일정한 패턴으로 區分할 필요가 있게되어 分類한 것을 格局이라고 합니다. 格은 크게 內格과 外格으로 나뉜다고 보시면 됩니다.


관인상생(官印相生) 

正官은 印綬를 生하고, 그 生을 받은 印綬는 日干을 生하는 關係를 말합니다.

殺印相生이란 말도 있는데 비슷하긴 하지만 그 意義는 다릅니다. 官은 正官을 말하며 殺은 七殺 즉 偏官을 말합니다.


군비쟁재(群比爭財)

많은 比劫들이 작은 財를 놓고 치열하게 싸우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四柱에 財가 뿌리 없이 天干에 떠 있고 比劫이 많은 경우 行運에서 또다시 財가 들어올 때 일어나는 현상인데요 작은 財를 놓고 수많은 사람이 서로 가지려고 爭鬪를 벌이니 많은 안좋은 일이 일어납니다.

이런 경우 목숨도 위태롭다고 합니다. 群劫爭財라고도 합니다.


극설교가(剋洩交加)

어느 五行이 剋制를 당하고 함께 洩氣를 당하면 그 힘이 몹시 弱해지는데 이를 剋洩交加라고 합니다.


기반(羈絆)

四柱상 天干에서만 作用하는 것인데 干合이 되었으나 化하지 못하는 것을 羈絆이라고 합니다. 干合한 경우에 化神이 月地와 같으면 化하고, 그렇지 못하면 羈絆되었다고 하는데요 羈絆이 되면 合한 天干 중 陰干은 그 作用을 못하게 되고 機能이 停止 됩니다. 이를 羈絆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 羈絆이 된 干은 그 본래의 五行으로서의 使命을 망각하고 合을 탐욕한 것인데, 四柱 중의 用神 또는 喜神이 羈絆이 되면 그 四柱의 숙명도 한 평생 큰 일 한 번 못해보고 무위도식으로 보내게 됩니다. 그러나 비록 用神 또는 喜神이 羈絆 되더라도 日柱 또는 他六神이 用神 또는 喜神과 干合된 他六神을 沖하면 用神 또는 喜神이 망각했던 본래의 使命을 다시 찾아 日干를 위해 힘을 다하여 돕습니다.


대운(大運), 세운(歲運)

어떠한 四柱이든 그 四柱를 支配하는 환경은 十年 마다 다르다고 합니다. 이 十年간 支配하는 것을 大運이라 하고, 매년 그 해를 支配하는 五行을 歲運이라고 합니다. 즉 2010년은 庚寅年이라고 하면 바로 庚寅이 歲運인 것입니다. 勢運이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득비리재 (得比理財)

群比爭財와 대조되는 말인데, 四柱에 財가 많고 日干이 弱하면 그것을 財多身弱이라고 합니다. 이때, 약한 日干이 比肩과 劫財의 힘을 빌어 비로서 그 財를 管理하여 쓸 수 있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財物과 아내 德을 보고 父親 德을 입기도 합니다.


득령(得令), 득지(得地), 득세(得勢)

得令이란 日干이 月支에서 그 힘을 얻을 때, 즉 月支가 日干의 뿌리가 될 때를 得令이라 합니다. 日支가 日干의 뿌리가 될 때를 得地라고 하고요, 그 외의 干支에서 日支를 도울 때는 得勢라고 합니다.


매금(埋金)

토다금매(土多金埋)에서 나온 것인데요 土가 金을 生하지만 土가 지나치게 많으면 金이 土에 묻혀버린다는 뜻입니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모자란 것 보다도 못하다고 했습니다. 過猶不及이라고 했던가요?


목다화식(木多火熄)

木은 火를 生하는데 木이 지나치게 많으면 불이 오히려 꺼진다는 뜻입니다.

나머지 五行도 이와 같이 생각하면

화다토척(火多土斥)-불이 너무 강하면 흙이 갈라진다.     火多土燥-燥는 마르다는 뜻

토다금매(土多金埋)-토가 지나치게 많으면 금이 묻혀버린다.

금다수탁(金多水濁)-금이 많으면 물이 탁해진다.

수다목부(水多木浮)-물이 많으면 나무가 물에 떠 버린다.  水多木漂-漂는 떠내려간다는 뜻


목다금결(木多金缺)

金은 木을 剋制할 수 있는 것이지만 木이 많으면 오히려 金이 문드러진다는 뜻입니다. 剋하는 것이 剋을 당하는 것 보다 弱하면 이런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나머지 五行의 관계를 생각하면

토다목절(土多木折)-토가 지나치게 강하면 나무가 꺾어진다.

수다토류(水多土流)-물이 너무 강하면 흙이 떠내려 간다.

화다수증(火多水蒸)-불길이 아주 강하면 물은 증발되어 버린다.

금다화식(金多火熄)-쇠가 지나치면 불이 꺼져버린다.


병(病)과 약(藥)

柱中에 같은 五行이 많아 害가 되는 것이나 吉神과 喜神을 剋制하는 五行이 있으면 이런 五行을 病 또는 病神이라고 합니다. 그 病을 剋制시켜주는 五行, 또는 中和시켜주는 五行이 있으면 이런 五行을 藥이 또는 藥神이라고 합니다.


상관패인(傷官佩印)

傷官은 官을 보면 剋을 하는 것인데 印綬로 傷官에게 명찰을 달아주었다는 것이 바로 傷官佩印입니다. 이런 경우 傷官은 官을 剋하는 것이 아니라 傷官이 印綬로 잘 다듬어져 고급기술 등을 배우게 된다는 것입니다.


생조(生助) 

어떤 五行이 힘이 약하여 도움이 필요할 때 이를 生해주거나 같은 五行으로 그 힘을 거들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水에게는 金이 生이고 水가 助입니다.


설(洩), 설기(洩氣)

어떤 五行이 다른 五行을 生하게 해주면 自身은 힘 즉 氣運이 빠지게 됩니다. 이를 洩 또는 洩氣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木이 火를 生해주면 火는 기운이 强해지지만 木은 그 氣運을 빼앗기게 됩니다. 이때 木은 洩氣되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泄, 泄氣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용신(用神)

日干은 나 자체이고 用神이라 함은 日干이 살아나가는 방편이고 패턴이며 行動方式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日干은 用神으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用神이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行動을 하고 生活하는지를 잘 관찰하는 것이 아주 重要하고 用神을 제대로 찾는 것이 四柱를 판단하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用神을 도와주는 神을 喜神이라 하고 用神을 해치려는 神을 忌神이라고 합니다. 忌神을 도와주는 神을 仇神이라하고 用神이나 忌神에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는 신을 閑神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閑神이 어떻게 活動을 하느냐 하는 것도 주의 깊게 관찰하셔야 합니다. 閑神의 活動이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거든요.


정신기(精神氣)

精이란 日干을 生하는 印星을 말합니다.

神이란 日干과 洩剋하는 傷食, 財星, 官星을 말합니다.

氣란 日干과 같은 比劫을 말합니다.

四柱가 좋으려면 이 精神氣가 잘 調和되어야 합니다.

만약 精만 强하다면 비대해지고, 神만 旺盛하면 身弱하게 되어 좋지 않고, 氣만 旺하면 身强하나 유통이 잘 안되어 답답합니다.


탐재괴인(貪財壞印)

財를 탐하여 印이 붕괴된다는 뜻입니다. 즉 財物이나 女子를 탐하여 人格은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체면불구하고 財物을 탐한다는 것이지요.


투간(透干

四柱의 지지장간에 있는 五行이 四柱의 天干에 나타나 있는 것을 말합니다.


통근(通根)

通根이란 뿌리가 通하여 있다는 뜻입니다. 天干이 地支에 뿌리를 내리는 경우인데요 天干이 通根하고 있어야 그 힘이 强해지는 것입니다. 古典에서는 比劫만 通根이라 했는데 現代에 와서는 印星이 있을 때에도 通根했다고 합니다. 각 天干의 通根處를 보면

甲乙木-卯寅亥辰未

丙丁火-午巳寅未戌

戊己土-辰戌丑未巳午(寅)

庚辛金-酉申巳戌丑

壬癸水-子亥申丑辰


통관(通關)

柱中에 五行이 서로 相剋, 相沖되어 막혀있을 때 중간에서 막힌 것을 通하게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水와 火가 相剋하고 있을 때 중간에 木이 있어 水生木, 木生火로 서로 相生關係가 되도록 和解하여 주는 것을 말합니다.


희기(喜忌)

喜神과 忌神을 말하는 것입니다. 柱中에서 좋은 역할을 하는 것이 喜神이고 나쁜 역할을 하는 것이 忌神입니다.

출처 : 한국역학연구회
글쓴이 : 하얀나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