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배우기/고급

도충격

그대 사랑 2019. 8. 8. 17:12

도충격(倒沖格)의 실체|명리마당

雲岩 |            

//

도충격(倒沖格)

도충격(倒沖格)은 특수외격(特殊外格)의 하나로 사주간명 상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판단할지 모르지만 이와 같은 운명의 소유자가 종종 나오고 있으므로 무조건 배척할 것이 아니라 사주원국을 자세히 살펴 간명의 오류를 줄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충격(倒沖格)은 비조인 연해자평(淵海子平)에 분류되어 있으나 그 성립과정이 복잡/미묘하여 고서인 적천수(滴天髓)와 명리정종(命理正宗)에서는 근거 없는 학설이라 하여 매우 비판적으로 대하고 있다.


1.丙일간 도충격(倒沖格) 도표

 

 

도표에서 보는 것처럼 일간/丙火가 지지의 午火가 많고 사주 내 관성/水氣가 없으면 성격하는데 이때 午火의 반대오행인 子水를 허공에서 불러들여 子-午상충으로 파극하면 子水의 지장간/癸水가 튀어나오므로 이를 일간의 정관으로 취용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사주 내 申/辰/丑가 존재하면 허공의 子水를 삼합/육합하는 申-子合/子-辰合/子-丑合으로 불러올 수 있어 좋은데 그와 달리 사주 내 午火와 삼합/육합하는 寅/戌/未를 보거나 삼형/상충하는 오행을 만나면 허공의 子水를 불러올 수 없으며 도충격(倒沖格)의 진격(眞格)이 될 수 없다.


2.丁일간 도충격(倒沖格) 도표

 

 

도표에서 보는 것처럼 일간/丁火가 지지의 巳火가 많고 사주 내 관성/水氣가 없으면 성격하는데 이때 巳火의 반대오행인 亥水를 허공에서 불러들여 巳-亥상충으로 파극하면 亥水의 지장간/壬水가 튀어나오므로 이를 일간의 정관으로 취용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사주 내 卯/未/寅이 존재하면 허공의 亥水를 삼합/육합하는 亥-卯合/亥-未合/寅-亥合으로 불러올 수 있어 좋은데 그와 달리 사주 내 巳火와 삼합/육합하는 酉/丑/申을 보거나 삼형/상충하는 오행을 만나면 허공의 亥水를 불러올 수 없으며 도충격(倒沖格)의 진격(眞格)이 될 수 없다.


예제/궁통보감의 시판원(施判院) 사주/此火長夏天金疊疊格 侍郞

 

 

▶ 사주 내 월지/일지/시지의 겁재/巳火가 합을 탐한 나머지 巳-酉合金하여 재성/金氣로 기반되니 허공중의 亥水를 불러오지 못하며 도충격(倒沖格)을 성격하지 못한다.


사주해설

丁일간 巳월에 태어나 득령하였으며 일지 겁재/巳火에 득지하고 시지 겁재/巳火에 득세한 중에 시상 편인/乙木이 투출하여 일간을 생조하니 대단히 신왕하다.


이렇게 일간이 신왕하면 종격/가종격으로 돌아가지 않는 한 이를 적절히 억제하는 기운이 필요한데 마침 년지 편재/酉金이 자리 잡고 그 속에 뿌리를 둔 년간 편재/辛金과 월상 편관/癸水가 투출하여 일간을 극루하니 이는 신왕한 일간을 견제하고도 남음이 있는 것이라 종하지 않으며 내격 준한 용신을 설정함을 알 수 있다.


고로 용신은 겁중용관격(劫重用官格)으로 억부/조후가 일치하는 관성/水氣를 용신하고 이를 생조하는 재성/金氣를 희신하며 신왕한 일간을 자연스럽게 누출하는 식상/土氣도 길신으로 삼는데 조토인 戌土/未土는 조후를 거슬리므로 불리하다.


위 부분을 놓고 고서인 궁통보감은 도충격의 성질을 일부 인정하는 것이 엿보이나 그 장점은 불투명하다 적고 있으며 여기서 중요한 것은 비록 특수외격(特殊外格)의 도충격이 성립되더라도 용신법은 내격이나 외격의 기준을 벗어날 수 없음을 살펴야 할 것이다.

 

다음검색

   

'사주배우기 > 고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운과 유년 배합의 결론   (0) 2019.08.08
子平의 特殊 雜格 核心論  (0) 2019.08.08
정격과 변격  (0) 2019.08.08
여명 사주 (펌)  (0) 2019.07.06
명리추론(펌)^^  (0) 2019.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