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글 보기

사주세우는법

그대 사랑 2019. 9. 9. 22:00

오늘은 사주(四柱)를 어떻게 세우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사주(四柱) 세우는 방법

 

  요사이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워낙 잘 되어 있어서 생년월일시를 쳐 넣기만 하면 자동으로 사주가 좌악 나

  타나기는 합니다. 그러나 사주를 보려면 어떻게 사주를 세우는지 정도는 알아야 하겠기에 여기서 한 번

  그 원리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사주(四柱) 세우는 방법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위는 간(干) 아래는 지(支)의 순으로 써 갑니다.

    오른쪽에는 남자는 건(乾), 여자는 곤(坤)이라 써 놓고 시작합니다.

 

 

       생시(生時)    생일(生日)    생월(生月)    생년(生年)      건(乾) 또는 곤(坤)명 

           ○                ○                ○                ○                 ○

           ○                ○                ○                ○

           ⇧                 ⇧                ⇧                 ⇧                 ⇧

       시주(時柱)    일주(日柱)    월주(月柱)    년주(年柱)      남자는 건(乾)

       시상(時上)    일진(日辰)    월건(月建)    태세(太歲)      여자는 곤(坤)

 

    

    참고적으로 년을 세(歲), 월을 건(建), 일을 전(專), 시를 귀(歸)라고 하기도 합니다.

 

 

 

 2) 년주(年柱) 세우기

    년주(年柱)의 기준은 음력 1월 1일이 아니구요 12절의 시작인 입춘(立春)입니다.

    예를 들어 양력으로 2010년 2월 14일이 음력으로는 1월 1일인데요 그날 경인(庚寅)년으로 바뀌는 것이

    아니구요 2010년 2월 4일 아침 7시 47분이 입춘(立春) 절입(節入)시간이거든요.

    그러니까 2010년 2월 4일 아침 7시 47분에 경인(庚寅)년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입춘(立春)절입시간 이전에 태어났으면 년주(年柱)가 경인(庚寅)이 아니고 기축(己丑)이 되는 것이랍니

    다. 또한 음력 1월 1일인 2월 14일은 이미 경인년으로 접어들고도 10일이나 지난 시점이구요.

    한 해의 시작점을 전한(前漢)시대에는 동지(冬至)로 삼았습니다. 동지(冬至)가 1년 중에서 낮이

    가장 짧고 밤이 제일 긴 때로, 음(陰)의 기운이 극에 달해서 이 때부터 음이 끝나고 양의 기운이

    새로 시작된다는 일양시생(一陽始生)의 생각에 의해서입니다. 후한(後漢)시대부터는 입춘(立春)

    을 1년이 시작으로 보았습니다. 봄의 시작이 부활이고 농사의 시작이라고 본 것입니다.

 

 

 3) 월주(月柱) 세우기

   월주(月柱)는 12절이 기본입니다. 각 절입시(節入時)부터 그 다음 절입시(節入時) 전까지입니다.  

   예를 들면 2010년 5월 7일생이면 입하(入夏 ; 5월 5일 23시 52분)가 지나고 망종(芒種) 전이기 때문

    에 사(巳)월이 되고 경인년은 사(巳)월이 신사(辛巳)월이기 때문에 월주가 신사(辛巳)가 되는 것입

    니다.

 

    참고적으로 12절은 다음과 같답니다.  

 

月支

12節

입춘

立春

경칩

驚蟄

청명

淸明

입하

立夏

망종

芒種

소서

小暑

입추

立秋

백로

白露

한로

寒露

입동

立冬

대설

大雪

소한

小寒


 

   월주(月柱)에서 경인(庚寅)년의 사(巳)월이 신사(辛巳)월 인지 어떻게 알 수 있냐구요?

   갑기(甲己)년은 丙寅월

   을경(乙庚)년은 戊寅월

   병신(丙辛)년은 庚寅월

   정임(丁壬)년은 壬寅월

   무계(戊癸)년은 甲寅월부터 시작이 됩니다.

   그러니까 경인(庚寅)년은 乙慶에 해당하니까 무인(戊寅)월부터 시작하니까 다음엔 기묘(己卯)월,

    경진(庚辰)월, 그 다음이 신사(辛巳)월이 되는 것이랍니다.

 

 

 4) 일주 세우기

   일주는 할 수 없이 만세력을 보고 세울 수 밖에 없답니다.

   그러니까 할 수 없이 만세력을 사야겠군요. 어떤게 좋으냐구요?

   서점에 가셔서 가장 본인 눈에 보기 좋은 것이 좋은 것이랍니다.

 

 

  5) 시주 세우기

   시주는 “시두법”이 기준입니다. 동지(冬至)와 하지(夏至) 후에 갑일(甲日)과 기일(己日)의 한밤중

   에 갑자시(甲子時)로 시작합니다.

   시두법은 원래 상극(相剋)법으로 세우는데 그냥 다음과 같이 외워 두셔야 합니다. 태어난 날을 보

   고 하는 것입니다.

   갑기(甲己)일은 甲子시

   을경(乙庚)일은 丙子시

   병신(丙辛)일은 戊子시

   정임(丁壬)일은 庚子시

   무계(戊癸)일은 壬子시부터 하루가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서비스로 외우는 방법을 알려드리면

   “갑기(甲己)는 그냥 갑자(甲子)부터구요, 을경(乙庚)이는 병자(丙子 아픈사람)구요, 병신(丙辛)은

    자식이 없구(戊子)요, 정임(丁壬)이는 경자(庚子)라는 친구가 있구요, 무게(戊癸)를 잡는 사람은

    임자(壬子)가 있지요.”

    그런데 굳이 안 외우셔도 됩니다.

    왜냐하면 만세력 사시라고 했지요. 만세력 부록편에 자세히 나와 있답니다.

 

 

    ※시간 계산에 대한 문제

     그럼 언제부터 자(子)시이고 축(丑)시에 해당하는가 하는 문제가 남습니다.

      현재 우리나라가 사용하는 시간은 일본 동경의 시간이랍니다. 동경의 경도는 135도입니다.

      우리나라 서울의 경도는 126도 58분 46초입니다. 그렇다면 서울과 동경의 시간차는 약 32분 05

      초의 차이가 나게됩니다. 그러므로 시간이 바뀌는 시점은 매시 32분 05초 이어야 하나 우리나라

      의 중심부분을 지나는 경도를 127도 30분(대개는 청주를 지나는 선임)정도로 잡아 30분을 기준

      으로 하면 될 것입니다. 분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여 각 도시마다 몇 분이 기준이냐 하며 따지

      시는 분도 있는데 대개 하늘의 기가 몇 분을 기준으로 해서 갑자기 변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그래도 중요하다고 생각되시면 그것은 각자가 정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시간별로 표를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時間

23:30∼

01:30

01:30∼

03:30

03:30∼

05:30

05:30∼

07:30

07:30∼

09:30

09:30∼

11:30

11:30∼

13:30

13:30∼

15:30

15:30∼

17:30

17:30∼

19:30

19:30∼

21:30

21:30∼

23:30


 

 

      그런데 또 문제가 되는 것이 있습니다.

     1954년 3월 21일부터 1961년 8월 9일까지는 우리 표준시를 사용했습니다. 이때의 표준시는 경도

      가 127도 30분이었기 때문에 지금처럼 30분을 늦추어서는 안되고 그냥 그 시간으로 봐야 한다는 것입

      니다. 즉 자(子)시는 23시부터 다음날 01시까지이고 축(丑)시는 01시부터 03시인 셈이지요. 이때에 태

      어난 분은 시간에 특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끝난 것 같은데 또 하나가 더 있습니다.

      야자시(夜子時)와 정자시(正子時 또는 朝子時) 문제입니다.

      이게 또 뭐냐구요?

      자(子)시에 대한 문제인데요.

      예를 들어 갑자일 23시 50분에 태어난 사람의 일주와 시주는 어떻게 하느냐 인데

      어떤 분들은 00시 30분이 되어야 날짜가 바뀌는 것이라 하고 어떤 분들은 자(子)시가 시작되는 23시

      30분에 날짜가 바뀐다는 것입니다. 즉 전자를 야자시라고 하는데요 전자의 경우에는 일주는 갑자(甲

      子)가 되고 시주는 다음날인 을축(乙丑)일의 자시에 해당되는 병자(丙子)시가 된다는 것이고 후자를

      정자시(朝子時)라고 하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날이 바뀌었으니까 일주도 을축(乙丑)일이 되고 시간도

      역시 을축일의 자(子)시인 병자(丙子)시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시간의 흐름이나 기의 흐름으로 보아서 저는 당연히 후자인 정자시를 쓰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정자시를 쓰고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역시 어느 것을 쓰느냐 하는 것은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이 스스로 판단할 문제인 것입니다.

 

 

  6) 대운(大運) 간지 세우기

      대운은 10년간 지배하는 운기인데 왜 하필이면 10년을 주기로 운기가 변화하는가 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태양 흑점의 변화주기라고도 하는데...

      좌우간 대운은 생년이 양(陽)인지 음(陰)인지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생년이 양(陽)인 남자와 음(陰)인 여자는 태어난 달로부터 순행합니다.

      생년이 음(陰)인 남자와 양(陽)인 여자는 태어난 달로부터 역행합니다.

      대운 간지의 기준은 태어난 달입니다.

        예를 들면

                       ◯  ◯  戊  丙     乾

                       ◯  ◯  戌  辰

       의 경우 건(乾)이니까 남자이고 병진(丙辰)년에 태어났으니까 병(丙)은 양(陽)입니다. 그러니까 순행

       하겠습니다. 기준은 태어난 달이 무술(戊戌)이니까 무술(무술)에서부터 순행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까 처음 대운(大運)은 월간의 경우 무(戊) 다음이 기(己)이고 다음은 경(庚), 신(辛), 임(壬), … 이런

       식으로 나가고 월지는 술(戌) 다음이 해(亥), 자(子), 축(丑), 인(寅), 묘(卯), … 이런 식으로 나가겠습

       니다.

       따라서 처음 대운(大運)은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 이렇게 되겠습니다.

 

                      ◯  ◯  己  甲     坤

                      ◯  ◯  巳  辰

       의 경우는 곤(坤)이니까 여자 인가요? 그리고 년주(年柱)가 갑진(甲辰)이니까 갑(甲)은 양입니다.

       이런 분의 경우를 양녀(陽女)라고 하고 양녀(陽女)는 순행한다고 했나요? 아니면 역행한다고 했나요?

       그렇지요 양녀는 역행이지요. 그렇다면 태어난 달이 기사(己巳)이니까 천간부터 생각해 볼까요 기의

       앞은 무(戊), 그 앞은 정(丁), 또 앞은 병(丙), 또 앞은 을(乙), … 이렇구요, 지지는 사(巳)의 앞은 진

       (辰), 또 그 앞은 묘(卯), 또 그 앞은 인(寅), 또 앞은 축(丑), … 이렇게 나가겠습니다. 따라서 대운은

       무진(戊辰), 정묘(丁卯), 병인(丙寅), 을축(乙丑) … 이 되겠습니다.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좌우간 열심히 연습해 보십시오.

 

 

 7) 대운 세수 찾기

     대운세수는 나이를 뜻합니다. 대운세수가 “6”이면 6세에서 15세까지 하나의 대운간지가 지배하고, 16

    세에서 25세까지는 그다음 대운간지가 주관합니다. 이런 식으로 10년씩 한 대운간지가 지배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럼 대운세수는 어떻게 계산하나구요?

     대운세수 계산은 태어난 해가 陽年에 태어난 남자와 陰年에 태어난 여자 즉, 陽男과 陰女는 생일 다음

     날 부터 다가올 절기 날까지 세어서 3으로 나누어서 남는 몫을 가지고 정합니다. 생일 다음 날부터 절

     기일 까지 26일 이라면 26을 3으로 나누면 몫은 8이 나머지가 2가 됩니다. 나머지가 2일 때는 무조건

     나눈 몫에 1을 더합니다. 나눈 몫이 8이니까 8에 1을 더하면 9가 되지 않습니까. 그럼 9가 대운세수가

     되는 것입니다.

     다음 절기일 까지의 남은 날이 25일이라면 나눈 몫은 8이고 나머지가 1이되죠? 나머지가 1 일 때는 나

     머지 1을 버리고 나눈 몫 8이 바로 대운세수가 되는 것입니다.

     다음 절기일 까지의 남은 날이 24일 이라면 24를 3으로 나누면 몫은 8이고 나머지는 0이 됩니다. 그러

     면 바로 나눈 몫 8이 대운세수가 된답니다.

     눈치 빠른 분들은 아셨겠습니다.

     남은 날을 3으로 나누어 나머지가 1 이거나 나누어 떨어지면 나눈 몫이 대운세수이고, 나머지가 2 일

     때는 나눈 몫에 1을 더하면 바로 대운세수가 되는 것이랍니다.

     그럼 陰男 陽女는 어떨까요?

     陰男과 陽女는 생일 전날부터 지난 절기일까지 세어서 3으로 나누어 남는 몫을 가지고 정한다. 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잘 이해가 되셨을라나 모르겠습니다.

     좌우간 어렵나요? 그럼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아까 말씀드린대로 근사한 만세력을 사는 것입니다. 그럼 대개는 년, 월, 일, 시주 및 대운세도 남녀별

     로 모두 나와 있답니다. 또 여유가 조금 더 있으시면 적당한 프로그램을 사는 것입니다. 그럼 컴퓨터라

     는 물건이 모두 해결해 주니까요.

     요사이는 휴대전화로도 다운 받으면 사주는 물론 십이운성, 신살 등이 주루룩 나오는 것도 있더라구요.

     그렇지만 스스로 사주를 세울 수 없다면 글쎄요...

     좌우간 수고하셨구요.

     다음 시간에는 합, 형, 충, 파, 해 등에 대하여 공부하시겠습니다.

 

 

 

 

 

 

 

 

 

 

 

 

 

 

 

다음검색

'인기글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첩경  (0) 2019.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