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사주와 심리

[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17회 (격국과 용신-2)

그대 사랑 2018. 4. 12. 17:56

3. 用神

지난 회에서 用神은 타고난 四柱를 가지고 어떻게 살아가는가 하는 것을 고찰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즉 자기가 배정 받은 車를 가지고 그 車와 調和를 맞추어 어떤 일을 해야 하고 어떠한 행동양식을 가져야 하는 지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四柱의 調和를 맞추어 주는 것을 用神이라고 하는데 이 用神을 찾는 기본적인 생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로 日干의 힘이 너무 强하면 그 힘을 弱하게 하는 것이고, 弱하면 도와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억부용신(抑扶用神)이라고 합니다.

둘째로 四柱가 너무 추우면 따듯하게 해 주어야 하고, 추우면 따듯하게 해 주어야 하며, 너무 濕하면 乾燥시켜주고, 너무 乾燥하면 조금 濕氣를 불어넣어 주어야 겠지요. 이런 것을 조후용신(調喉用神)이라고 합니다.

셋째로 너무 强한 五行은 오히려 없는 것 보다도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五行이 지나치게 强하거나 害를 끼치는 五行이 있을 때 이런 것을 病이라고 합니다. 이 病은 치료를 해야 하는 것이니까 혹시 四柱에 이 病을 치료해 줄 수 있는 것이 있으면 이를 병약용신(病藥用神)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넷째로 어느 두 五行이 서로 勢力이 비슷하여 마치 싸우고 있는 형태가 되면 이 두 五行이 싸우지 않도록 중재해 주는 것이 있는지 찾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통관용신(通關用神)이라고 한답니다.

그 외에도 하나의 五行이 그 勢力이 너무 커서 가히 거스르지 못할 때는 그 氣勢를 따르거나 혹은 化하게 만드는 五行을 찾아 이를 전왕용신(專旺用神)이라고 하고, 格局을 통해 用神을 찾는 것을 격국용신(格局用神)이라고 합니다.

좌우간 四柱는 항상 調和와 均衡을 이루어야 安定되고 좋은 것입니다. 이 調和와 均衡을 이루는 要素들을 잘 찾고 관찰하여야 한답니다.

자, 그럼 하나씩 예를 들어가며 說明해 드리겠습니다.


1) 억부용신(抑扶用神)

(1) 日干이 强한 경우

日干이 强할 때는 그 强한 힘을 剋制해 주어야 한답니다. 그러니까 日干을 剋制하는 官星이 用神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日干이 旺하면 그 힘을 빼 주는 것이 原則입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는 日干이 生해주는(이런 경우에 日干의 힘이 洩氣 됩니다.) 食傷이 用神이 되는 것이지요. “왕자의설 불의극(旺者宜洩 不宜剋)”이라는 말이 있답니다. 文字 한 번 써 보았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생각할 것은 日干이 强하여 官殺로 剋制해야 하는데 官殺이 弱하다면 이런 경우는 財星을 용신으로 쓴답니다. 財生官을 하는 것이지요. 또 日干이 强한데 官殺이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그럼 할 수 없이 그 힘을 洩氣하는 것이 좋으니까 食傷이 用神이 되겠지요. 이 경우에도 食傷이 弱하면 財星이 用神이 된답니다.


  甲  辛  庚  戊

  午  丑  申  申


이 四柱의 경우에는 辛金이 申月에 生했구요 金이 아주 많지 않습니까? 또 日支가 印星이므로 아주 身强한 四柱가 되었군요. 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는 日干을 剋制하는 午火가 用神이 되겠습니다.


  乙  壬  壬  丙

  巳  申  辰  子


이 四柱의 경우에는 地支가 申子辰 水局을 이룬데다가 比肩 壬水가 月柱 天干에 透出했으므로 日干이 너무 强旺합니다. 月支 辰의 餘氣인 乙木이 時柱 天干에 透出했으니 日干의 氣勢를 배설하는 傷官 乙木을 用神으로 삼습니다.


  戊  丁  甲  戊

  申  卯  寅  辰


이 四柱의 경우에도 寅卯辰이 모두 있으니 木의 氣가 旺盛합니다. 正印인 甲木까지  透出했으니 일간의 氣勢가 너무 强합니다. 이 경우에는 財星인 申金을 用神으로 삼아 印星을 적당히 파괴해 주어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身强한 경우에 官星과 食傷 또 財星을 用神으로 삼는 경우를 하나씩 예를 들어드렸습니다.


(2) 日干이 弱한 경우

日干이 弱할 때에는 弱한 日干을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러니까 日干을 生해주는 印星이나, 같은 勢力인 比劫이 用神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日干을 도와주는 五行이 太過하면 日干을 돕는 것을 剋制하는 것이 用神이 되구요 日干을 돕는 五行이 弱하면 그 도와주는 五行을 도와주는 것이 用神이 됩니다. 즉 日干이 弱해서 印星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印星이 弱하다면 그 印星을 도와주는 官星이 用神이 되는 것이지요.  조금 어렵지요? 예, 많이 어렵답니다. 아주 身强하거나 身弱한 경우는 用神을 찾기가 그렇게 어렵지는 않지만 애매한 경우에는 무척이나 어렵답니다. 많은 四柱를 접하고 또 硏究해야 하는 것이랍니다.


  己  壬  丙  丁

  酉  寅  午  亥


이 四柱의 경우에는 壬水 日干이 午月에 生했는데다가 도와주는 印星과 比劫도 弱하므로 日干의 힘이 아주 弱합니다. 즉 身弱하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당연히 日干을 도와주는 印星인 酉金이 用神이 되겠습니다.


  己  戊  辛  癸

  未  申  酉  亥


이 四柱의 경우에는 財星과 食傷이 太旺하니 日干이 극히 身弱한데 柱中에 印星인 火가 없으므로 比劫인 土가 用神입니다.


이상으로 抑扶用神에 대한 몇 가지를 살펴 보았습니다.


2) 조후용신(調喉用神)

四柱가 전체적으로 춥거나 덥거나 또는 濕하거나 乾燥할 때에는 그것을 調節하는 五行이 필요하겠지요. 그런 것들을 調和시켜주어 四柱를 中和시켜주는 五行을 調喉用神이라고 합니다. 대개는 亥子丑月 또는 巳午未月에 出生한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戊  庚  丙  甲

  寅  辰  子  申


이 四柱는 동짓달에 出生하고 地支가 申子辰 水局까지 이루었으니 온통 얼어붙어 水冷 寒金한 四柱가 되었습니다. 戊土가 있어 다행이나 역시 얼어붙은 땅이니 財星 木인들 어찌 살 수 있겠습니까? 이럴 때 四柱에 火가 있어 溫氣를 불어 넣어 주어야 비로서 活氣를 찾을 수 있는데 다행히 月干에 丙火가 透出되어 寒氣를 녹여주니 丙火야 말로 이 四柱를 살려주는 五行입니다. 그러니 丙火가 用神이 되는 것이겠지요.


  壬  丙  丙  丁

  辰  午  午  丑


이 四柱의 경우에는 丙火가 午月에 出生하고 날짜마저 午日이니 비록 印星이 없다해도 火氣가 매우 치열한 것을 알 수 있겠지요? 그렇다면 이 熱氣를 식혀 줄 五行이 필요한데 다행히 時干에 壬水가 水庫인 辰土위에 있고 丑土까지 있어 壬水가 火氣를 식혀 줄 用神이 되겠습니다.

그런데 반드시 이렇게 冷氣가 치열하다고 溫氣를, 火氣가 치열하다고 해서 水를 用辛으로 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火氣가 强旺한데 水가 無根하면 오히려 활활타는 불에 물 한바가지 붓는 격이 되어 水가 오히려 기름이나 산소로 化하는 경우도 있으니 잘 살펴야 한답니다. 자세한 것은 나중에 다시 說明드리고 여러분은 아직 초보니까 이 정도까지만 아셔도 대단한 것입니다.


3) 병약용신(病弱用神)

日干을 도와주는 五行이 剋制를 받으면 이 剋制하는 것이 丙이고 이 丙을 抑制시키면 그와 같은 것이 藥이며 用神이 된다는 것입니다. 어느 五行이 너무 많아도 五行의 흐름을 막아 역시 丙이 되기도 합니다. 이 너무 많은 五行을 적당히 흘러 갈 수 있도록 한다든지 하는 것도 역시 藥이 되겠지요. 그러나 四柱 내에 藥이 되는 五行이 있으면 좋은데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답니다.


  丙  甲  庚  庚

  寅  戌  辰  申


이 四柱의 경우에는 甲木이 비록 봄철인 辰月에 出生했고 金이 비록 봄에는 힘이 弱하다고 했으나 庚金이 强한 뿌리를 바탕으로 힘차게 透出되어 있으니 가히 두렵지 않습니까? 그런데 다행히 時干에 丙火가 寅木 위에 있고 寅戌 半局까지 하고 있으니 强한 庚金을 다룰 수 있어서 좋습니다. 따라서 丙火가 用神이 되는 것입니다. 病藥用神은 抑扶의 개념으로 統合해도 별 무리는 없습니다.


  戊  辛  戊  己

  戌  亥  辰  丑


이 四柱는 辛金 日干이 辰月에 生하였는데요 얼핏 보면 印星이 많아 좋을 것 같으나 흙이 너무 많으니 金이 그 속에 묻혀버린 꼴이 되었지요. 아! 이런걸 토다매금(土多埋金)이라고 한다는 것을 배운 적이 있지요? 그래서 이 土가 病인데 土를 없애줄 五行인 木이 있어야 하는데 아쉽군요 이 四柱 안에는 木이 없으니 丙은 심한데 藥이 없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4) 통관용신(通關用神)

四柱 내에서 두 勢力이 서로 對立하고 있을 때 이를 仲裁시켜주는 五行이 있으면 그 五行은 四柱를 調和롭고 均衡있게 해주므로 이런 五行을 通關用神이라고 합니다. 또 强한 勢力을 지닌 五行이 日干을 귀찮게 할 때 이 强한 五行을 끌어들여 오히려 나를 돕게 하는 五行이 있으면 이 또한 通關用神이 되는 것이랍니다.


  甲  戊  甲  戊

  寅  午  寅  子


이 四柱를 관찰해 보면 戊土가 寅月에 生했으니 土의 힘이 아주 弱한데다가 年支 子水까지 있어 木의 기가 매우 强합니다. 즉 官殺이 太旺한 四柱가 되었습니다. 年干에 比肩 戊土가 있으나 그 또한 매우 弱하니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다행히 日支에 午火가 있어 木生火 火生土가 되도록 유도하니 바로 午火가 用神이 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정격에 대한 用神 찾는 方法을 간단히 몇 개만 說明드렸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서서히 說明드리고 익히도록 하지요.

다음 회에서는 外格에 대하여 한 번 생각해 볼까 합니다.

출처 : 한국역학연구회
글쓴이 : 하얀나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