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합/삼합의 쟁합
방합의 경우 지지 삼합과 투합/쟁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만일 방합과 삼합의 오행이 서로 일치하면 방합/삼합의 기운이 한곳으로 모이게 되므로 이때는 방합/삼합을 함께 성격하며 삼합보다 방합의 기운이 강력하다.
滴天髓 方局
方是方兮局是局. 方要得方莫混局.
방은 방을 이루고 국은 국으로 짜여진다. 방이 합쳐 방을 얻었는데 국이 섞이면 좋지 않다.
十二支寅卯辰東方. 巳午未南方. 申酉戌西方. 亥子丑北方. 此之爲方. 寅午戌火局. 申子辰水局.
십이지의 寅卯辰은 東方이며 巳午未는 南方이라 申酉戌은 西方이며 亥子丑은 北方인데 이를 두고 방이라 한다. 寅午戌은 火局이며 申子辰은 水局이라.
亥卯未木局. 巳酉丑金局. 此之爲局. 凡三字全爲成方. 二字不取. 以力量言. 寅卯辰全. 較勝
亥卯未는 木局이며 巳酉丑은 金局인데 이를 두고 局이라 한다. 무릇 삼자가 모두 모이면방을 이루나 두자만 있다면 취하지 않는다. 따라서 힘의 세기를 말한다면 寅卯辰이 모두 모이면
亥卯未也. 戊日遇寅月. 見三字俱以殺論. 遇卯月見三字, 俱以官論. 己日反是. 遇辰月. 視寅卯
亥卯未보다 힘이 강한 것이다. 일간 戊土가 寅月에 태어나 寅卯辰 삼자를 갖추면 살이라 논하고 卯月에 태어나 삼자를 갖추면 관이라 논한다. 己土 일간은 이와 반대로 논하면 되는데 辰月을 만나면 寅卯의
之勢. 較量輕重, 以分官殺. 其餘倣此. 所言方局莫混之理. 亦不盡然. 如木方而見亥字. 爲生旺
세력을 보고 경중을 비교하여 관살을 구분하며 그 나머지도 여기에 준하면 되겠다. 方局이 섞이면 좋지 않다 말하는 것 또한 다 믿을 것이 못되는데 만일 木方이 亥水를 만나면
之神. 見未字爲我剋之財. 又是木盤根之地. 有何不可. 卽用三合木局. 豈有所損累耶. 至於作用.
왕신을 생하며 未土를 만나면 내가 극하는 재성으로 목의 뿌리가 되는데 어찌 불가하다 하겠는가? 삼합의 木局을 용신으로 한다한들 어찌 해를 끼칠 수 있겠는가?
則局之用多. 而方之用狹. 弗以論方而別生穿鑿也.
국에 용신이 많고 방에 용신이 적은데 방을 논하면서 다른 논리를 펴지 말아야 할 것이다.
▶ 대운천간 갑목은 일간에 대한 겁재며 길신으로 사주원국의 월상 정관/경금을 갑-경상충으로 가격하니 이는 지지에 뿌리를 두지 못하는 흉신을 제거하는 것이라 좋게 되었다.
▶ 상황이 이럴진데 대운지지 오화 또한 일간에 대한 식신이며 길신으로 사주원국의 월지 겁재/인목을 인-오합화하여 식상/화기를 더하는 것은 타고난 재주/재능을 발휘하고도 남음이 있는 것이라 무언중에 발복함을 암시하고 있다.
사주해설
을일간 인월에 태어나 득령하였으며 일지 비견/묘목에 득지하고 시지 인수/해수에 득세한 중에 인-묘-진 방합하고 해-묘합목 준삼합을 쟁합하여 지지 목국을 이루니 대단히 신왕하다.
이렇게 일간이 신왕하면 종격/가종격으로 돌아가지 않는 한 신왕한 일간을 억제하는 재성/토기와 관성/금기가 필요한데 사주원국을 자세히 살펴보니 월상 정관/경금이 투출하여 신왕한 일간을 금극목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지지 인-묘-진 방합과 해-묘합목 준삼합이 쟁합하여 목국을 이루는 것은 월상 정관/경금의 의지처를 상실하는 것이라 더이상 지지에 뿌리를 둘 수 없게 되었으며 더하면 년간 상관/병화로부터 병-경상충으로 파극되니 그만 고립무원에 처하고 말았다.
고로 비겁/목기를 따르는 종격/곡직인수격을 성격하며 용신은 대세에 따르는 비겁/목기와 이를 생조하는 인성/수기 및 태왕한 일간을 자연스럽게 누출하는 식상/화기를 모두 길신으로 삼는데 이때는 식상/화기를 주용신한다.
이렇게 사주격국과 용신을 설정하고 사주원국을 자세히 살펴보니 지지 목국을 이루고 년간 상관/병화와 시상 식신/정화가 투출하여 길신의 임무를 다하니 매우 좋게 되었는데 운로의 흐름이 동방-남방-서방으로 치달리는 처사는 초년/중년/장년 정히 길신의 흐름이라 어찌 발복하지 않겠는가?
이 부분을 놓고 고서에 말하기를 癸巳대운에 녹을 얻었으니 과거에 급제하고 甲木대운에 남궁의 첩지를 알렸으니 지위가 향상되어 한원에 이르며 午火대운에 寅木과 합이되어 동량의 재목이 되었다 적고 있으니 귀격임에 틀림없다.
결론적으로 위 사주를 풀어가는 해법은 인-묘-진 방합하고 해-묘 준삼합을 쟁합하여 지지 목국을 이루는데 있으며 사주격국이 순수하고 용신이 강령하며 사주 내 청기를 이루는 것은 대부대귀한 운명을 나타내는 것이라 일청도저유정신(一淸到底有精神)이라 할 수 있다.
출처 :동양역학인연합회 원문보기▶ 글쓴이 : 고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