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충(沖)과 형(刑) 및 파(破)와 해(害)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충(沖)
沖이란 서로 剋이되는 강한 오행의 기운끼리 서로 부딪치며 일어나는 현상인데 그 결과 큰 변화나 충동
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沖의 작용은 변화, 동요, 이동, 쟁투, 갈등, 불안정, 질병, 사고 등을 말하는
데 어때요 보니까 뭔가 나쁜 것 같습니다. 그러나 沖이 발생했다고 해서 꼭 나쁜 작용만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沖을 한 결과 어떤 변화가 발생했는가를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沖은 고요하게 잘 있던
것을 움직이게 하며, 모여 있던 것을 흐트러지게 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沖의 결과
오히려 전화위복이 되는 경우도 있으니 四柱의 구성과 함께 잘 살펴 해석을 함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천간(天干)에서의 충(沖)은 대개 충(沖)이라 하지 않고 극(剋)이라고 합니다.
하늘은 맑고 가벼우며 동(動)하는 성질이 있구요 땅은 탁하고 무거우며 정(靜)한 성질이 있으므로 천간
의 충은 가볍고 지지의 충은 무겁게 일어납니다.
또 沖한 五行의 陰陽에 따라 陽의 沖은 빠르게 나타나며 陰의 沖은 느리게 나타납니다.
좌우간 沖하는 시기에는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좋고 나쁘고는 사주의 구성과
작용을 잘 살펴 보시구요.)
① 지지충(地支沖)
沖은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에서 같은 색의 글자끼리 일어납니다. 자신에서 시작하여 일곱 번째 글자와의 沖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方位가 서로 반대인 地支끼리의 沖이란 말입니다.
그러니까 地支沖은
子午 沖
丑未 沖
寅申 沖
卯酉 沖
辰戌 沖
巳亥 沖
의 여섯가지입니다.
이 충(沖)은 다음과 같이 나누기도 합니다.
∎ 사패지(四敗地) - 子午卯酉 의 沖
四敗地가 뭐냐구요? 그것은 다음에 十二運星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子午卯酉는 正方向을 나타내므로 지역의 沖이라고 합니다. 주로 거주하는 곳의 변동을 나타냅니다.
생활하는 환경만 바뀌는 것입니다. 직장이나 직위 같은 것이 움직이는 것은 아니랍니다. 꼭 그런 것은
아니구요 상황에 따라서 판단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우선은 그렇게 생각해 보자는 것입니다.
더 자세한 것은 나중에 하기로 하겠습니다.
∎ 사장생(四長生) - 寅申巳亥 의 沖
장생지는 역마성(驛馬星)에 해당되는 오행입니다. 따라서 거주지역과 직장이 모두 움직인다고 생각하
시면 됩니다.
∎ 사고지(四庫地) - 辰戌丑未 의 沖
땅은 고요한 성질이 있으므로 지역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따라서 직장의 이동은 있으나
거주지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고(庫)는 창고의 의미이므로 沖하면 支藏干의 五行이 튀어나와 쓸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역시
많은 설명이 필요하므로 다음에 다시 생각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② 천간충(天干沖)
천간 역시 일곱 번째 五行과 만나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위에서 말했듯이 天干의 沖은 대개 沖이라고 하
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류만 알아보겠습니다.
甲庚 沖
乙申 沖
丙任 沖
丁癸 沖
잘 보시면 陽干은 陽干끼리, 陰干은 陰干끼리 沖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沖은 이제 대충 다 알아보았습니다.
3) 형(刑)
刑이란 형벌을 집행한다거나 형벌을 당한다는 의미인데 五行의 기가 지나치게 강해져서 나타나는 일종
의 부작용으로 상호 五行이 손상되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刑殺이 四柱 원국에 있다고 해서
바로 刑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구요 운에서 刑殺을 건드렸을 때 刑이 나타납니다.
刑의 원리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는데 대체적으로 三命通會에 의하면 三刑은 三合에서 생겨난
것이며 六害가 六合에서 生하는 것과 같은 것인데 예를 들면 申子辰 水局 三合에 寅卯辰 木局이 더해지
면 水生木의 生의 관계가 되지만 生助함이 과하여 자식인 木은 의타심에 의지하는 나약함이 생겨나 결국
앞날을 망치게 되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다른 것도 같은 원리입니다.
그럼 원리를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三 合 |
申 子 辰 |
寅 午 戌 |
巳 酉 丑 |
亥 卯 未 |
|
⇓ ⇓ ⇓ |
⇓ ⇓ ⇓ |
⇓ ⇓ ⇓ |
⇓ ⇓ ⇓ |
方 合 |
寅 卯 辰 |
巳 午 未 |
申 酉 戌 |
亥 子 丑 |
위의 표를 잘 관찰하시면 申⇒寅⇒巳⇒申 이런 식으로 生 또는 힘을 보태주는 관계가 성립하죠? 申子辰
의 申金이 寅卯辰의 寅을 剋하는 것은 아닌가 하시겠지만 申子辰은 水局을 이룬 것이므로 의 申은 이미
水인 것이므로 寅을 生한 것입니다.
좌우간 申 寅 巳가 서로 맞물린 것을 아실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戌 未 丑도 같고요. 그래서 寅巳申과
丑戌未를 三刑이라고 합니다.
또 子는 卯와만 관계가 있죠? 그래서 子卯 는 相刑이라고 합니다.
또한 辰, 午, 酉, 亥는 자신들과만 관계합니다. 그래서 辰辰, 午五, 酉酉, 亥亥는 自刑이라고 한답니다.
형의 종류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① 寅巳申 三刑 - 무은지형(無恩之刑)이라고 합니다.
三命通會에 의하면 寅중 甲木은 巳중 戊土를 剋하는데 癸수는 무토의 妻이고 甲木의 어머니에 해당됩
니다.(아직 六親에 대하여는 설명을 안했으므로 그렇게 알고 계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戊土는 甲木
의 아버지인데 자식이 아버지를 刑하여 恩惠를 잊어버리는 것이 됩니다. 따라서 寅巳申 三刑을 無恩
之刑이라하고 평생 골육(骨肉)간에 문제가 생기는 특성이 있습니다.
② 丑戌未 三刑 - 지세지형(持勢之刑)이라고 합니다.
丑은 丑중의 旺한 癸水의 힘을 믿고 戌중 丁火를 刑하고, 戌은 戌중 辛金의 세력을 믿고 未중 木을 刑
하며, 未는 未중 丁火의 세력을 믿고 丑중 辛金을 刑하므로 각기 세력을 등에 업고 서로를 刑하는 관계
가 되므로 四柱에 丑戌未의 刑殺이 있으면 刑罰의 재앙이 따르고 여자는 고독하다고 합니다.
③ 子卯 相刑 - 무례지형(無禮之刑)이라고도 합니다.
子는 水이고 卯는 木이므로 子는 어머니이고 卯는 자식이 됩니다.
子의 夫는 戊土인데 卯가 戊土를 심하게 剋하게 되므로 子는 卯를 刑하게되고, 또 卯는 庚金을 夫로하
는데 子는 死地이므로 卯는 子를 刑하게 됩니다. 따라서 각기 夫로 인하여 刑을 하는 격이니 子卯刑이
있는 여자는 어질이 못하고 無禮하다고 합니다.
④ 辰辰, 午五, 酉酉, 亥亥 自刑은 각각의 五行이 지나쳐 나오는 각 五行의 단점을 생각하시면 될 것입
니다.
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破와 害는 그냥 종류만 써 놓을테니까 그렇게 알아만 두세요.
破와 害는 안보는 사람도 꽤 많답니다.
4) 파(破)
破는 파괴적인 작용을 하며 刑이나 沖보다는 작용력이 약하다고 하는데, 子水가 旺地인데 酉金이 生하니
깐 生이 잘되지 않아서 처음에는 좋을듯하나 나중에 싸우게 되는 그런 것들을 말합니다. 破의 종류는
子酉破
寅亥破
辰丑破
午卯破
申巳破
戌未破
가 있습니다.
5)해(害)
육해(六害) 또는 육친지해(六親之害)라고도 하며 해당되는 六親이 질병 등 害를 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刑, 沖, 破, 害 중 가장 살 작용이 약합니다.
그냥 그런 것이 있구나 하는 정도로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해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子未害
丑午害
寅巳害
卯辰害
申亥害
酉戌害
어때요? 좀 도움이 되셨는지요.
오늘은 여기까지 하구요 다음 회에서는 六親(十神)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사주배우기 > 사주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7회(천간과 지지의 배상) (0) | 2018.04.10 |
---|---|
[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6회(육친) (0) | 2018.04.10 |
[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4회(천간과 지지의 합) (0) | 2018.04.10 |
[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3회(사주세우기) (0) | 2018.04.10 |
[스크랩] 아주 초보자를 위한 명리학 강의 3회(사주세우기) (0) | 2018.04.10 |